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07-06-21 11:07:17
기사수정
거창군이 FTA 확산 등 농업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이를 능동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지역차원의 대책으로서 ‘친환경 농업특구’지정을 추진키로 했다.

지난 19일 군에 따르면 농업의 활로를 찾고자 친환경 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을 수립,광역 친환경 지구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사업의 실효성 담보 차원에서 친환경농업 특구를 추진키로 했다.

이에 따라 군은 농민들의 의견을 듣고 확대 간부회의에서 난상토론을 거치는 등 이미 내부 검토를 마쳤으며 7월 추경에 관련예산을 확보하고 전문기관 용역을 통해 세부 사업계획을 마련, 오는 10월까지 재경부에 ‘거창 친환경 농업특구’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특구지정 대상은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해 일부 지역이나 특정 작목을 대상으로 하는 다른 지자체와는 달리 군 전역이 친환경 농업특구로 지정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군은 또 친환경 농업 특구로 지정이 되면 국⋅도비를 포함한 368억원의 예산을 투입, 친환경 퇴비와 농자재 보급을 획기적으로 확대하고 저농약, 무농약, 유기농법 면적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면서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크게 늘릴 계획이다.
 

한편 거창군에서는 이미 수년 전부터 덕유산 자락의 북상면에서 주민 자율적으로 면 전역에 제초제 안치기 운동을 벌이고 있으며 이 곳에는 ‘게비스 코리아’ 가 20만㎡의 면적에 각종 쌈 채소를 재배하고 있으며, 10만 9천㎡에는 유기농법으로 벼와 콩, 고구마 옥수수 등을 재배해 대도시 백화점 등에 납품하고 있다

또 가조면의 친환경 쌀을 비롯해 일교차가 매우 큰 고제면의 사과와, 웅양면 에서 생산되는 포도가 시장에서 명품대접을 받고 있는 등 친환경 농업의 여건이 잘 갖추어져 있다.

군 관계자는 “거창군은 낙동강 수계 최상류에 자리잡고 있어 외부에서 오염된 물이 한방울도 유입되지 않는 청정지대이자 친환경 농업의 최적지”라며 “이 같은 환경적 여건을 생산적으로 활용한다면 농업과 농민을 살리는 돌파구가 될 것” 이라고 전망했다.

군은 이 같이 계획이 시행되면 거창군의 청정 이미지 제고는 물론 안심 먹거리로서 지역 농산물의 브랜드파워가 한층 강화되어 농가 소득증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농업 관련 특구 가운데 특정 작목이 아닌 지역 전체가 특구로 지정된 곳은 전국에서 경기도 양평군과 경북 울진군 등 2개 자치단체 뿐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443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관련기사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