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부산, 지하수 이용 소규모 수도시설 자연방사성물질 수질검사 결과 - WHO 가이드라인․권고치에 훨씬 못 미쳐
  • 기사등록 2007-03-09 10:24:03
기사수정
 
부산광역시에서는 환경부에서 2006년도 농어촌마을을 대상으로 지하수를 사용하는 소규모수도시설에 대해 자연방사성물질 함유실태를 조사해 결과를 발표했으나, 부산지역은 조사대상에서 제외되어 사용시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먹는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실태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태조사는 2007년 2월 26일부터 3월 7일까지 부산시와 각 구․군 및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합동으로 지하수 이용 소규모수도시설 47개소 중 영도구, 북구, 기장군 등 급수인구가 많은 10개소를 선정해 방사성물질인 우라늄, 라돈, 라듐, 전알파에 대한 표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대상 방사성물질은 자연계 존재하는 물질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까지 먹는물 수질기준은 없으며, 미국의 경우 △우라늄 30㎍/L, △라돈 4,000pCi/L(제안치), △전알파 15pCi/L, △라듐 5pCi/L로 관리하고 있다.

부산시는 이번 조사결과 △우라늄의 경우 0.24~1.25㎍/L, △라돈 15~972pCi/L, △전알파 2.5~4.1pCi/L로 검출되어 미국의 먹는물 기준 및 WHO 가이드라인․권고치 등에 훨씬 못 미치며, △라듐은 조사한 전 시설에서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시에서는 올해 6개정수장 계통 원수 및 정수에 대해 자연 발생적인 방사성물질의 양과 지질학적인 영향과의 상관성 비교를 위해 수계 중의 분포실태를 조사할 예정이다.

환경부의 지질별 함량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라늄은 화강암지역에서, 라돈은 화강암과 변성암지역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110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관련기사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