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안동 정신문화 연수생 6만여명 배출 - 정신문화연수원 4곳···'정신문화수련'의 메카로 확고히 자리매김
  • 기사등록 2013-01-13 11:17:32
기사수정
 
안동이 지난해까지 정신문화 연수생을 6만여명이나 배출해 '정신문화수련'의 메카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안동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표적 정신문화연수원은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과 한국국학진흥원, 안동독립운동기념관, 안동예절학교청소년수련원 등 4곳이다.

이들 4곳에는 지역 내 연수생보다 수도권이나 대구 등 타 지역에서 안동을 배우기 위해 찾는 연수생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0년 전인 2002년 처음 224명의 연수생을 배출한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은 매년 선비문화를 배우기 위해 찾는 연수생이 늘어 지난 2010년 연간 1만 명을 돌파한 이후 지난해에는 모두 20,438명의 연수생을 배출했다.

특히 초창기 교원과 공무원, 학생 위주의 연수에서 최근 윤리경영과 도덕경영이 주목받기 시작하자 기업체 임직원들의 참여가 늘어나고 있다. 기업체 임직원의 경우 지난 2007년 70명 남짓이었으나, 2009년 920명, 2011년 1,335명에 이어 지난해에는 배에 가까운 2,766명이 늘어났다. 기업임직원도 KT를 비롯해 IBK기업은행, 인천공항공사, 한국남부발전 등 다양하다.
 
이처럼 기업인들이 안동을 찾는 가장 큰 이유는 맹목적 이윤추구에서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윤리경영의 해법을 찾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알묘례, 전통의례, 활인심방, 유적답사, 선비문화 토론, 종손과 대화 등 정신문화 체험을 통해 21세기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업윤리를 재정립하고 혁신방안을 강구한다는 것.

전통적인 교수법을 고수하고 있는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에 비해 한국국학진흥원 인성연수관은 현대식 교수법을 병행해 정신문화를 전파하고 있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도 15,000여 명의 정신문화 연수생을 배출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재경대구경북시도민회를 대상으로 한 경북 정체성 확립 교육과정을 운영해 1,300명의 연수생을 배출하고 여성리더과정, 오피니언 리더과정, 해외경북인 자녀, 향토사랑 문화교실, 이야기 할머니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의 핵심역할을 묵묵히 수행해 내고 있다.

독립운동이 성지 임하면 천전에 위치한 안동독립운동기념관에서도 20,398명의 연수생을 배출했다. 이곳에서는 초·중·등 교원직무교육을 비롯해 독립운동해설사 양성, 대학생 인성교육캠프, 선비캠프, 나라사랑 안동사랑 역사캠프, 찾아가는 독립운동사 체험교실, 청소년보훈캠프, 댐주변지역 학생들을 위한 나라사랑 물사랑 캠프, 유치원생들을 위한 나라사랑 교육, 공무원 연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선비정신에서 기인된 독립운동가의 정신과 독립운동사 등 우리의 근대사를 활용한 정신문화 교육이다. 한국독립운동사와 안동인이 펼친 독립운동사를 통해 독립운동 정신을 알아가고 하계마을과 오미마을 등 독립운동성지 현장탐방과 독립군 사관학교 훈련체험 등을 통해 나라사랑 정신을 되새기는 기회로 삼을 수 있어 다양한 계층에서 찾고 있다.

아울러 우리의 전통예절을 가장 잘 배울 수 있는 곳으로 알려진 안동예절학교 청소년수련원도 정신문화수련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마음이 담긴 말과 행동을 알려주는 전통예절을 비롯해, 배례법, 공수법, 다도예절, 사자소학, 우리가락과 윷놀이, 투호놀이 등 민속놀이를 섞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예절교육을 진행하면서 지난해 5,000여명이 찾아 문전성시를 이뤘다.

안동시 관계자는 "21세기 한국의 정신적 가치를 중추적으로 이끌어 갈 핵심도시 역할을 이어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시설 기반 구축을 위해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7627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