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인의 밥상, 대상작 '영주삼계탕 하늘을 날다' - KBS 1TV, 국민 아버지 최불암씨가 진행하는 푸드멘터리 프로그램 '한국인의 …
  • 기사등록 2011-07-25 22:49:02
기사수정
'2011 영주 삼계탕 요리경연대회'를 개최 한 영주시가 지난 7월 7일에는 국민 아버지 최불암씨가 진행하는 푸드멘터리 프로그램“한국인의 밥상(K1TV)”에 이 대회의 대상작인 선비인삼칠향계와 영주 지역의 삼계탕이 방영되어 국민들의 관심을 고조시킨바 있다.
 
중복을 맞아 삼계탕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약병아리에 인삼·황기·대추·찹쌀 등을 넣고 푹 고아서 만든 음식을 삼계탕이라고 한다.

여름철의 건강을 돕기 위한 보양음식으로, 요즈음에는 양계법이 발달되어 계절에 관계없이 병아리를 부화시키고 있으나, 예전에는 봄철에 둥우리에서 부화한 병아리가 여름철이면 400∼500g쯤 되는 중병아리로 자라게 되므로, 이것을 이용하여 여름철의 더위를 이길 수 있는 영양식을 만들게 된 것이다.

원래는 연계(軟鷄: 병아리보다 조금 큰 닭)를 백숙으로 고아서 `영계백숙'이라 하였는데 인삼을 넣어 계삼탕이라 불렸으며 지금은 삼계탕이라고 명칭이 굳어졌다.

'서울잡학사전'에서는 “계삼탕은 식욕을 돋우고 보양을 하기 위해 암탉에다 인삼을 넣고 흠씬 고아 먹는 것이다. 배를 가르고 삼을 넣고는 꾸져 나오지 못하게 실로 묶는다.

여름철 개장국 먹는 축보다 더 여유있는 집안의 시식이다. 계삼탕이 삼계탕이 된 것은 인삼이 대중화되고 외국인들이 인삼의 가치를 인정하게 되자 삼을 위로 놓아 명칭을 다시 붙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하여 명칭이 바뀐 이유를 설명해 주고 있다.

함께 넣은 인삼·황기·대추는 우리나라 토산의 한약재이므로, 삼계탕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약식동원(藥食同源)의 개념이 짙게 들어 있는 음식의 하나라고 특징지을 수 있다.

삼계탕은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들이 손꼽는 한국 음식 중 하나이다.

일본과 중국은 물론 미국과 유럽 등지의 외국 관광객들도 가장 맛있게 먹은 한국 음식으로 전주비빔밥과 더불어 삼계탕을 꼽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명칭에서 보듯 삼계탕은 풍부한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의 보고인 닭고기와 예로부터 만병통치의 영약으로 확인된 인삼의 환상적인 만남 으로 이루어진 최고의 전통음식이다.

영양학적으로도 닭은 돼지고기보다 섬유가 가늘고, 연할 뿐 아니라 지방이 근육 속에 섞이지 않아 맛이 담백하고 소화 흡수도 잘 돼 다른 육류에 비해 성인병의 위험에서 자유롭다.

때문에 예로부터 백년손님인 사위에게 씨암탉을 대접하는 풍속이 있었으며 최근에는 다이어트를 하는 여성들도 닭가슴살을 이용한 요리를 많이들 이용한다.

여름철에는 더위로 인하여 양기가 밖으로 몰리면서 내부는 허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따뜻한 음식을 통해 양기를 보하는 것이 좋다.

삼계탕에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인삼은 체내 효소를 활성화시켜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피로 회복을 앞당긴다.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빈혈예방에 좋고, 만성위염 환자의 통증을 완화하고 식욕을 돌게 하고 피부 세포에 원기를 불어 넣어 기능을 개선시킨다.

부재료로 들어가는 찹쌀은 삼계탕이 완전한 한그릇 식사가 되기에 충분할 뿐만 아니라 심하게 땀을 흘리거나 잦은 소변, 피로 등으로 시달리는 사람에게 좋고, 강장제 구실을 하는 마늘과, 기운을 돋워주고 노화를 막는 밤과 대추, 장수식품인 은행 등의 효능을 함께 누릴수 있다.

삼계탕은 닭고기와 인삼이 조화를 이룬 한국 전통의 대표적인 여름철 보양식이다. 더위라는 환경이 사람의 체력을 저하시키고 체내의 단백질 요구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질 좋은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해주는 것이 좋으며, 소화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지방이 적고 조직이 부드러운 고기를 먹는 것이 좋은데, 이에 가장 적합한 것이 삼계탕이다.

영주풍기인삼은 농가소득이 110억에 경상북도에서 44.7%를 차지하는 특용작물로 그 유래를 보면 신라 성덕왕 33년 서기 734년 당나라에 200근의 산삼을 선물하였다는 삼국사기 기록이 있으며, 인삼의 재배 기록은 신재 주세붕 군수가 1541년~1545 풍기군수로 재직하면서 인삼재배법을 개발 보급하였다.

풍기인삼의 특징은 사포닌함량이 높고 종류가 많고, 조직이 치밀하며, 향이 진하고, 홍삼을 만들면 RG3성분이 생성되는데 그 성분은 항암효과가 있어 추출하여 항암제로 사용하고 있다.

영주 닭은 생산기반시설인 종계장, 부화장, 대형양계단지와 유통가공시설인 계란 GP센터가 완벽하게 구축된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전국 최대 계란생산지로서 전국 7개 시세 고시지로 경북 최대의 육계 생산지역이다.

영주 지역의 삼계탕은 향토음식점인 풍기삼계탕(일간스포츠의 백년명가 코너에 소개된 우리나라 5대 삼계탕 집의 하나)을 포함 총 10여개 업소에서 삼계탕용 닭을 매년 40만수 이상 판매하고 있다.

영주삼계탕은 세계최고 영주풍기인삼과 청정 영주닭이 만나 우수한 맛과 영양을 자랑하며 지나온 이천년이 우리 전통의 삼계탕이었다면 앞으로 다가오는 이천년은 세계의 삼계탕으로 도약하는데 영주삼계탕이 선도적인 역할을 하여 “볼거리․즐길거리․입을거리”를 찾아서 영주를 방문 하는 것이 아니라 “먹을거리”를 찾아서 영주를 방문하는 식품관광클러스터를 구축 6차산업의 발전에 기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6110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