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초대형 안동발전사업 제도적 기틀 마련돼··· - 3개 지역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지정···4개 사업에 1조7,355억원 승인
  • 기사등록 2011-04-18 13:46:00
기사수정
 
김광림 국회의원은 안동시의 3개 지역이 국가가 지정하는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으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안동시 도산면 일대(가송·단천리 등 13개리 103.2㎢)와 성곡·용상동 일대(26.8㎢), 풍산읍 일대(계평·괴정리 등 19개리 96.5㎢) 등 3개 지역 226.5㎢(백두대간권 103.2㎢, 낙동권 123.3㎢)가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이하 종합발전구역)으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종합발전구역 시 발전촉진지구는 도산면일대 세계유교·선비문화공원과 한국문화테마파크조성사업지구와 풍산읍 일대 그린리버빌리지조성사업 지구이며, 투자촉진지구로 계획된 곳은 안동문화관광단지가 들어서는 성곡동 일대가 된다.

이 3개 지역의 발전·투자촉진지구는 총 670만㎡이며, 4개 사업 전체 예산 규모는 1조7,355억원이다. 세부적으로는 백두대간권 종합발전계획에는 3,215억원(국비 2,044억원)이, 낙동권 종합발전계획에는 2,260억원(민자 2,202억), 풍산읍 일대 그린리버빌리지조성사업에는 1조1,880억원(국비 2,180억원)이 반영됐다.
 
신발전지역위원회(위원장 김황식 국무총리)는 지난 11일 심의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경북도의 백두대간권과 낙동권, 충북권과 전북권 등 4곳에 대한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지정을 최종 승인했고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가 13일 관보 고시를 신청, 18일 고시됐다.

신발지역 종합발전구역으로 지정되면 지구 내 입주기업과 개발사업시행자에게 신발전지역 투자촉진특별법에 의거, 8가지 조세감면(법인세·소득세·관세·종합부동산세·부가가치세·취득세·등록세·재산세)과 4가지 부담금 감면(개발부담금·농지보전부담금·대체초지조성비·대체산림자원조성비), 인·허가 의제처리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또 용지매입비 등 자금지원과 국·공유재산 우선 매각 등도 지원된다.

투자촉진과 정주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임대전용산업단지 우선지정, 지역주민 우선고용, 교육·문화·관광시설지원, 학교·의료시설 설치 특례, 주택공급 특례 등이 지원된다.
 
한편 김 의원은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과 발전촉진지구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신발전지역육성을위한투자촉진특별법시행령' 제정과정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해 의견을 개진하고 경북도가 수립한 '백두대간권·낙동권 신발전종합계획'이 신발전지구로 조기에 지정받을 수 있도록 국회 예결위 질의 등을 통해 국토부와 환경부, 행안부 등을 끈질기게 설득해 왔다고 밝혔다.

또 권영세 안동시장도 지난해 7월 취임 직후부터 관련부서에 종합발전구역 지정을 조기에 받을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것을 지시하고 직접 사업을 챙겨오면서 필요한 시점과 고비마다 김 의원과 의논하면서 도움을 요청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제도적 기틀이 거의 마련된 만큼 원활한 국비 지원과 민간자본 참여를 이끌어 낼 환경을 조성하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사업이 마무리 되면 안동의 인구증가와 고용창출 등 다양한 분야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에 권 시장은 "민간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한 특별팀을 구성해 사업들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모든 뒷받침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지정된 경북도의 백두대간권 종합발전구역 공간면적은 7개 시·군(안동․영주․문경․상주․예천․봉화․울진) 일원 586.5㎢이며, 15개 사업 2조4,755억원(국비․지방비․민자 포함) 예산이 투입된다. 아울러 낙동권은 6개 시․군(안동․의성․군위․청송․영양․영덕) 일원 470.1㎢, 12개 사업에 2조2,945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렇듯 제도가 마련됨에 따라 공공과 민간의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서 초대형 지역발전사업들이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5825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