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공군작전사령부, 비상활주로 이착륙 훈련 - 94년 이후 남지비상활주로에서 16년 만에 이․착륙 훈련 시행
  • 기사등록 2010-11-29 16:02:53
기사수정
 
공군작전사령부(사령관 중장 오창환)는 11월 29일 2010년 호국훈련의 일환으로 전시 비상활주로 이․착륙 훈련을 남지비상활주로에서 실시했다.

비상활주로 이․착륙 훈련은 전시에 비행기지 활주로가 적의 공격으로 손상을 입어 항공기가 이․착륙을 하지 못하거나 항공기의 연료 및 무장의 재보급이 시급한 상황 발생시, 예비로 설채해 놓은 비상활주로를 이용하여 기존 비행기지 활주로의 기능을 대체하는 것이다. 전시 비상상황에서 항공작전의 지속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시지원 훈련이다.

남지비상활주로에서 이․착륙 및 재출동 훈련이 실시되는 것은 1994년 이후 16년 만으로, 공작사는 훈련에 차질이 없도록 비상활주로 보수 및 점검을 사전에 끝마쳤다. 한편, 공군 전체의 비상활주로 이․착륙 훈련은 2008년 죽변 비상활주로 이후 2년만이다.

이번 훈련에는 공군의 최신예 항공기인 F-15K, 주력기인 KF-16을 비롯해 F-4E, CN-235, T-50, KT-1 등 10여대가 참가해 전시와 유사한 상황에서의 작전수행능력과 비정상 상황에 대한 대응능력 향상을 도모했다.

훈련은 항공기 기종에 따라 활주로 접근훈련, 착륙 후 재출동 훈련 등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졌다. F-15K를 비롯해 KF-16, T-50 등은 편조별로 활주로에 저고도 접근 후 귀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여졌고, CN-235, KT-1은 정상적으로 착륙하여 연료를 재보급한 후 다시 이륙하는 과정으로 훈련이 진행됐다.

특히, 이번 비상활주로 이․착륙 훈련에는 활주로 주변 지역주민들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대표적으로 이번 훈련의 필요성 및 정당성을 알리기 위해 훈련 이전 4회의 지역주민 설명회 및 간담회를 실시하였으며, 훈련 당일 지역주민들을 직접 초청해 따로 마련된 관람석에서 훈련 장면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축에 대한 소음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F-15K를 비롯해 소음이 상대적으로 많은 제트 항공기의 경우 착륙하지 않고 고도 1천 피트(약300m) 상공까지만 접근 후 귀환하도록 했다.

이번 훈련의 지상통제반장인 작전사령부 작전부장 오창규 대령(공사33기)은 “이번 훈련을 통해 공군의 확고한 전시 작전수행태세 및 비상활주로에서의 임무수행능력을 확인했으며,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작전 완성도를 높여갈 것이다”라며, “이와 동시에 성공적인 훈련의 필수적 요소인 지역주민의 협조와 지지를 얻기 위해 훈련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역주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도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이다”라고 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5416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