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강동구, 치매 어르신이 안전한 가정환경 조성 추진 - 치매 어르신 맞춤형 사례관리 일환으로 가정 환경개선 사업인 ‘슬기로운 … - 지역 내 400여 가구를 대상으로 가정환경 안심 스티커북, 안전 물품 꾸러미 … - 독거 치매 어르신에게는 간단한 집수리 등 건강하고 안전한 일상 지원
  • 기사등록 2024-05-31 09:22:30
기사수정

{FMTV 표준방송 수도권 박상복 기자}


▲ 슬기로운 우리집 사용법 운영위원회 모




   서울 강동구(이수희 구청장)는 치매 환자의 건강하고 안전한 일상을 지원하기 위해 인지 건강 가정환경 개선 서비스인 ‘슬기로운 우리집 사용법’ 사업을 추진한다.

  

고령의 치매환자는 가벼운 사고에도 심각한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안전 취약계층으로 구분된다. 특히, ‘주택’은 고령자들의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 한국소비자원 『2022년 고령자 위해정보 동향 분석』 (2023.8월): “최근 4년간(2019년 ~2022년) ’주택‘관련 고령자 위해정보가 68.1%(18,167건)으로 가장 많았음” 인 만큼, 고령의 치매 환자들에게 ‘집’은 일상을 영위하는 장소이면서도, 안전을 위협받는 장소이기도 하다. 


이에 구는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치매 환자의 가정 내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하고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지원하고자 ‘슬기로운 우리집 사용법’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슬기로운 우리집 사용법’ 사업은 치매 환자와 가족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안전한 가정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맞춤형 사례관리 사업이다. 


이 사업으로 구는 지역 내 400여 가구를 대상으로 인지 건강 가정환경 안심 스티커 북과 가정 내 안전 교육 영상을 배포하며, 응급·집중 관리 대상인 80여 가구에는 안전 및 화재 예방 물품이 들어있는 꾸러미(야간 센서등, 다용도 수납장, 인지 활동 워크북, 콘센트 소화 패치 등)를 제공한다.


구는 특히, 혼자 사는 치매 환자 20여 가구에는 재가 환경평가를 통해 안전 위협요인을 점검 및 제거하는 등 가정환경 개선 집중관리에 나선다. 안전사고와 재해 예방을 위해 변좌 안전 손잡이, 화재감지기 및 소화기 등의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물론, 2인 1조로 구성된 건강 매니저를 양성 및 연계해 ‘인지 활동 워크북’을 활용한 활동과 말벗 지원 등 대상자의 인지능력 향상과 정서적인 지원도 진행한다. 


이를 위해 구는 강동소방서, SH공사 강동주거안심종합센터, 성내종합사회복지관, 복지용구센터 등 다양한 관계기관과 함께 ‘슬기로운 우리집 사용법 운영위원회’를 지난 3월 구성했으며, 도움이 필요한 치매 가정에 지역의 자원이 적절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김여진 치매안심센터장은 “이번 가정환경 개선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치매 환자와 가족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는 치매 친화적 사회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구는 치매 환자와 가족들의 부담을 경감하고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치매 관련 상담, 치매의 예방과 관리, 치매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각종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강동구 치매안심센터 및 치매상담 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1668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