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창녕군, 토기가마터 일원 경남도 문화재 지정 - 국내 최대 규모의 가야시대 토기가마터 확인 - 창녕 퇴천리 토기가마터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 창녕 퇴천리 토기가마터 가야 생산유적 최초 지정
  • 기사등록 2022-02-24 15:16:31
기사수정


▲ 창녕 퇴천리 토기가마터 일원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창녕군이 현존 국내 최대규모의 삼국시대 토기가마인 창녕 퇴천리 토기가마터 일원이 24일 경상남도 문화재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창녕 퇴천리 토기가마터는 2018년 가야문화권 조사연구 및 정비의 일환으로 실시한 ‘고대 창녕의 토기가마터’ 학술조사를 통해 처음 알려져 2019년과 2020년 군에서 시굴조사와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창녕군 창녕읍 퇴천리 산 78번지 일원에 길이 15.7m에 이르는 국내 최대 규모의 가야시대 토기가마터가 확인됐다.


▲ 창녕 퇴천리 토기가마터 일원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특히 10여 차례 보수하면서 만들어진 가마의 천정부 벽면(두께 130cm)이 국내에서 보고된 토기가마 중 가장 완전한 상태로 남아있어 가야 토기가마의 구조와 조업, 보수 방법 등을 알 수 있는 토기가마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처음 사용할 때의 연소부*를 축소해 회구부*로 재사용한 흔적과 회구부 내 대칭의 기둥구멍 4개를 이용해 구조물을 설치한 흔적 등 고대 가마터에서 보기 드문 시설도 확인됐다.


내부에서는 큰항아리, 짧은목항아리, 화로모양그릇받침, 굽다리접시 등 4세기 후반~5세기 초의 가야토기가 다량 출토됐다.

 

▲ 창녕 퇴천리 토기가마터 일원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이는 대규모 요업시설을 갖춘 비화가야인들이 고도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토기를 생산․공급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아직 밝혀지지 않았던 비화가야인들의 생활상 복원의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정우 군수는 “창녕 퇴천리 토기가마터 일원의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은 가야시대 생산유적의 첫 문화재 지정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가야유적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조사해 가야사 연구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창녕 퇴천리 토기가마터 일원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14554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