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황사, 국가재난 차원 관리…북한 두 곳에 관측망 설치 - 종합대책 확정…예·특보,조기경보체제 강화
  • 기사등록 2007-03-20 23:54:25
기사수정
앞으로는 봄의 불청객 황사도 국가재난관리 차원에서 관리된다. 또 황사 예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개성공단과 금강산에도 황사관측망을 설치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는 20일 노무현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환경부와 교육인적자원부, 기상청 등 14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의 ‘황사피해방지 종합대책’을 보고했다.

황사를 국가재난으로 인식하고 예·특보 및 조기경보체제 강화로 사후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정부는 먼저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에 황사를 포함시켜 재난관리 차원의 대응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황사 발생 시 관련부처 및 교육청 등에 비상대책반이 운영되고, 황사피해 방지를 위한 별도 위원회를 구성해 5년마다 피해대책이 마련된다.

인체위해도 등을 고려한 황사특보 기준도 주의보의 경우 500㎍/㎥ 이상에서 400㎍/㎥이상으로, 경보는 1000㎍/㎥이상에서 800㎍/㎥이상으로 강화시켰다. 기상청 내에 태풍황사팀도 신설되고 황사전담 예보관도 현재 1명에서 3명으로 증원된다.

황사관측망 확충과 예보모델 개발 등을 통해 황사예보의 정확도를 현재 57%에서 2010년 70%까지 높이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 21개, 해외 8개 설치된 황사 관측망을 각각 27개, 20개로 늘리고 개성공단과 금강산 등 북한에도 올해 안에 황사 관측장비를 설치키로 했다.
 
정부는 지난 2002년 심한 황사발생을 계기로 각종 대책을 추진해 왔으나, 황사 발원지인 중국과 몽골의 사막화 진행속도를 따라잡는 데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어 왔다.

이에 정부는 한·중·일 3국에 황사 발원지 몽골과 피해국 북한까지 참여시켜 ‘동북아환경협력체’ 구성을 이끌어내기로 했다.

또 중국, 일본, 몽골, ADB(아시아개발은행), GEF(지구환경금융), IBRD(국제개발은행), NGO, 민간기업 등이 참여하는 ‘황사방지기금’ 신설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정부는 황사문제를 국제무대에서 지속적으로 이슈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황사 뿐 아니라 대기오염, 황해오염 등 국경을 넘는 환경오염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지역환경협약’까지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연간 황사발생일수는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 기준 80년대에는 평균 3.9일이던 황사발생일수가 90년대에는 7.7일, 2000년 이후에는 12.4일로 늘어났다.

특히 올해는 황사 발원지가 매우 건조하고 기온이 높아 예년보다 황사발생이 더 잦을 것으로 전망된다.

황사는 호흡기 질환, 농작물 성장저해, 항공기 결항 등의 피해를 유발하며 이로 인한 피해액은 연간 3~5조원으로 추정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139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