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안동시, 태풍 후 농작물 적기 관리 당부 - 벼, 콩, 잡곡, 과수농가, 축산농가 등 태풍 사후관리 안내
  • 기사등록 2020-08-30 13:39:51
기사수정

 


안동시농업기술센터(소장 류종숙)는 제8호 태풍 ‘바비’가 지나감에 따라 농작물 후기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했다.

 
벼는 물에 잠기면 서둘러 물을 빼고 식물체에 묻은 흙 앙금과 오물을 깨끗한 물로 씻어준다. 또한 물 걸러 대기를 실시하여 뿌리 활력을 촉진시켜주며, 침·관수 된 논은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벼멸구* 등 병해충 방제를 위해 적용 약제를 살포한다. 바람에 의해 쓰러진 벼는 묶어세워서 쌀 품질 저하와 수발아* 피해를 예방한다.

 
콩, 잡곡 등 밭작물은 침수 시 빠른 시간에 물을 빼고, 쓰러진 식물체를 세우며 겉흙이 씻겨 나간 포기는 흙을 보완해 주어야 한다. 또한 생육부진 농작물은 요소 0.2%(비료 40g, 물 20L) 엽면시비*를 실시한다.


병에 걸렸거나, 상처 입은 고추는 빨리 제거하고, 무름병*, 탄저병* 등 병해충 방제를 실시한다.

 
과수농가에서는 쓰러진 나무는 토양이 젖어 있는 상태에서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세우고, 부러지거나 찢어진 가지는 깨끗하게 잘라낸 후 보호제를 발라준다.

 
태풍에 의하여 잎이 많이 손상된 나무는 상처 부위로 2차 병원균 침입 방지를 위하여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고, 수세 회복을 위해 요소(0.3% 액), 4종복비 등을 엽면시비를 하도록 한다.
  

축산 농가에서는 축사를 충분한 환기 및 수시로 분뇨를 제거하여 유해가스 발생을 억제시키며, 피해 발생 시 시설 응급복구 및 철저한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또한, 고창증 예방을 위하여 젖은 풀이나 변질된 사료를 주지 않는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이번 태풍이 지나간 후 현장 기술 지원을 할 계획이며 작물별 사후관리 및 병해충 등 2차 피해 예방에 총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 도열병 :  불에 그을린 것처럼 진한 갈색 반점이 생기는 병

- 흰잎마름병 : 잎에 흰무늬를 형성하면서 말라죽는 병.

- 벼멸구 :  벼를 숙주식물로 하는 해충

- 수발아 : 강우로 젖은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이삭에서 싹이 트는 것

- 엽면시비 : 액체 비료를 식물의 잎에 직접 공급하는 방법

- 무름병 : 흐물흐물해져서 썩는 병

- 탄저병 : 숯처럼 검은 종기 점무늬가 나타나는 병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13331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