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8-03-23 10:08:14
기사수정

 


안동 지역의 마을문화에 대한 관심과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안동민속박물관이 지난 2012년부터 마을민속 조사사업을 추진해 책자를 발간했다.

 

3월 23일 안동민속박물관은 올해 임하면 금소마을과 함께 삼베 생산지로 유명한 ‘서후면 저전마을’ 사람들의 생활문화와 전통을 조사․연구해 제6집 ‘심씨 할매와 삼베, 농요의 마을 저전’을 발간했다고 전했다.

 

이 마을민속 조사사업은 저전마을 사람들의 공동체생활을 대해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장 이용범 교수를 책임연구원으로 해 10명의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참여로 ‘심씨 할매와 삼베, 농요의 마을 저전’ 마을민속조사보고서를 완성했다.

 

수록된 내용은 마을의 역사와 경관<이진교>, 인구와 사회조직<이상현>, 청동기 시대 저수지가 있던 저전리의 생업<김재호>, 집에서 집밖으로 나가는 일생의례<이용범>, 종교생활의 약화와 지속<이용범>, 세시전통의 변환과 풍속의 공연화<이영배>, 농촌 주민들의 여가 방식과 경험<이은정>, 구비문학으로 읽는 마을의 역사와 문화<강선일>, 사진으로 보는 복식문화의 변천<배영동>, 저전리 식생활 양상과 변화<박선미>, 마을의 공간구조와 주거공간<정연상> 등으로 구성돼 있다.

 

서후면 저전마을은 논농사와 밭농사를 비슷한 규모로 짓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자 한양조씨 집성촌으로, 임하면 금소마을과 함께 안동을 대표하는 삼베 생산지며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된 ‘저전동 농요’가 전승되고 있다.

 

안동민속박물관 관계자는 "마을은 공동체문화를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자 우리의 삶과 생활방식이 살아 숨 쉬는 곳으로 이번 조사․연구로 마을문화의 가치를 발견하고 향후 안동지역 마을 민속 연구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발간한 학술총서와 마을민속조사보고서는 국․공립박물관 및 도서관 등 관계기관에 배포하고, 마을공동체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 및 일반인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안동민속박물관 홈페이지에서 서비스할 예정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11716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