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근·현대 시기 안동의 종교기록지 3권 발간돼 - ‘안동의 전통마을 생활사진’ 도록(圖錄)에는 275점 수록 - 디지털 공간에 4,500여점 종교 관련 사진 등 아카이브화 구축
  • 기사등록 2018-02-08 09:50:10
기사수정

 


안동권역 근·현대 3대 종교인 천주교,기독교,불교의 활동상에 관한 사진과 스토리를 함께 담은 기록지 3권, 전통마을 생활사진 도록 1권이 발간됐다. 또한 사진 관련 기록물 총 4,500여 점도 홈페이지(www.gacc.co.kr)에 등재됐다.

 

2월 8일 (사)경북기록문화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1년 간 안동지역 3대 교단에서 보관 중인 사진자료와 종교활동 문서 등을 발굴 수집해 디지털 아카이브화 시키는 사업을 추진했다.

 

천주교 기록지에는 안동교구청의 역사와 청사, 교육기관, 마리스타 안동학생회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천주교 관련 기록물은 지난 3월 천주교안동교구청(주교 권혁주)과 협약식을 체결한 후, 1958년 예안천주교회의 사진을 포함해 2,000여 점의 사진을 수집 등재했다. 수집된 기록물 중에는 1979년 시국사건으로 유명했던 ‘안동가톨릭농민회 오원춘 납치사건’ 관련 미사, 농성 등이 담긴 사진 다수가 포함됐다.

 

기독교 기록지에는 16개 안동지역교회 소개와 함께 지역사회와 얽혀있는 역사, 인물 등에 대한 스토리를 포함했다. 이 과정에서 1,100여 점의 사진이 등재됐다. 특히 조탑동 일직교회 종지기로 평생을 지낸 동화작가 권정생의 사진이 발굴돼 눈길을 끌었다.

 

불교 기록지는 고운사, 봉정사 등 안동문화권 28개의 사찰 소개와 함께 지역출신 고승에 대한 회고, 사찰음식, 문화재 발굴 기억 등이 서술됐다. 이 과정에서 지역 최초로 불교 관련 사진이 1,060여 점이 확보됐다. 특히 1천 년이 넘는 시간동안 지역사 속에 자리를 잡았던 불교이지만, 근현대 시기 전쟁과 화재로 소실되거나 훼손된 경우가 커 자료 수집에 어려웠던 점이 많았다. 

 


또한, 「안동의 전통마을 생활사진」은 ‘부포마을 수몰’(188장), ‘긍구당 고택’(14장), ‘군자마을’(47장), ‘내앞마을’(26장) 등으로 총 275장이 수록됐다. 특히 부포마을 사진은 안동댐 준공 직전 수몰지에 물이 차 오르기 직전 예안 부포마을 청년 이태원씨가 자전거를 타고 다니며 기록한 사진으로 향후 수몰지 마을복원 아카이브화에 귀중한 데이터로 활용될 예정이다. 전통마을 문중이나 몇몇 개인이 소장하고 있던 긍구당의 옛 사진과 군자마을 기록사진, 내앞마을 풍속사진 등은 안동의 현재역사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더불어 수집된 기록사진 4,500여 점 원본은 스캔작업을 통해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  경북기록문화연구원 홈페이지(www.gacc.co.kr)와 안동시청 홈페이지(메인홈→안동소개→사진아카이브)에서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

 

경북기록문화연구원 유경상 이사장은 “흩어진 채 소멸되고 있는 근현대 민간기록물과 유산을 지역공동체 자산으로 전환시켜내는 주민참여형 기록아카이브 활동에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 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사)경북기록문화연구원은 사라져 가는 지역사회의 가치 있는 근현대 민간기록물을 재가공하여 반영구적으로 보관하고,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다양한 문화콘텐츠 및 산업적 활용기반을 위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과 주민의 기억과 경험, 다양한 기록물의 보존활동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기록자치의 지평을 넓혀나간다는 전략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11648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