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울진군, 세계 최초 “소나무 인문사전” 출간 - 세계 최초로 한 식물에 대한 방대한 인문 사전 출간 - 울진군의 위상이 한 단계 상승, 세계속의 소나무도시로
  • 기사등록 2016-03-07 21:38:32
기사수정

 


울진군과 경상북도 합동으로 소나무에 대한 민족 문화의 모든 것을 담는다는 목표 하에 “소나무 인문사전”의 출간을 기획하여 1년간의 각고의 노력으로 드디어 사전을 출간하게 됐다.

 

소나무에 대한 인문학적 종합 지식을 망라한 책이 없어, 이러한 사전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2015년 초 울진군과 경상북도는 “소나무 인문사전” 편찬 실무 작업에 들어가 소나무에 대한 전문적인 식견을 갖춘 국내 최고 권위의 교수와 전문가들로 편찬위원을 구성했다.


 편찬위원들은 여러 차례 검토 등을 통해 문화예술, 인문역사, 생활, 생태, 지리, 자연유산 등의 7개 항목으로 대분류를 나누고, 이 대분류를 기준으로 38개 항목의 중분류표를 작성후 분류표를 토대로 표제어 1447개의 표제어가 선정됐다.


  또한 일반 사전과는 달리 소나무라는 특수한 분야에 대한 사전이라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의 총설을 달았다. 집필 역시 각 분야의 전문가에게 의뢰해 10여 명의 각 분야 전문가들이 집필에 참여했다.


  소나무가 우리 조상으로부터 현대인들에게까지 미치는 절대적 영향력 때문에 소나무는 예술적 영감의 원천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국보 180호인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를 비롯해 수많은 그림의 소재가 바로 소나무였다.


  한시(漢詩)로부터 현대시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학작품에 영감을 준 것도 바로 소나무였다. 수많은 전설과 민담의 배경으로 소나무가 자리하며, 전국 각처에 있는 천연기념물과 노거수에도 소나무가 다수(多數)를 차지한다. 애국가에도 남산의 소나무가 등장하며, 유행가에서 조차 소나무는 자주 등장한다.


  이런 소나무에 대한 인문학의 총합의 결과가 바로 '소나무 인문사전'이며, 또한 역으로 이 사전은 한국 인문학의 현주소를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 사전은 색인 기능을 강화하여, 독자들의 관심분야별로 찾아볼 수 있는 분류별 색인을 마련하였고, 인물 검색 기능도 추가했다.


  울진군과 경상북도는 소나무 인문사전 발간으로 울진 금강송의 우수성을 널리 홍보함은 물론, 한국 소나무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보다 실질적으로 표현하게 됐다.


  임광원 울진군수는 “앞으로 소나무 사전을 통해 울진금강송을 활용한 관광자원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함은 물론, 세계 최초로 발간된 소나무 인문사전으로 울진군의 위상이 한 단계 상승 및 세계속의 소나무도시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10137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