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동절기 취약계층 발굴에 '복지행정력 집중' - 2015.12월 ~ 2016. 2월 동절기 복지사각지대 집 중발굴기간 운영 - 경상북도, 주변의 어려운 이웃, 읍면동 주민센터나 보건복지콜센터(☏129)로
  • 기사등록 2016-01-11 19:00:42
기사수정

 


경상북도가 운영중인 ‘동절기 복지사각지대 집중 발굴 및 지원기간’이 저소득 취약계층의 따뜻한 겨울보내기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 12월 4,693명을 기초생활수급자로 책정, 생계‧주거‧의료‧교육급여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고, 일시적 경제 위기에 처한 1,254가구에게는 긴급복지지원을 통해 생계비‧주거비‧의료비 등으로 8억여원을 지원했다.

 

또한 사랑의열매 등 민간지원기관과 공적지원기준에 미달한 취약계층 1만 가구에게 10만원씩 동절기 연료비를 지급했으며, 저소득가구 학생 600명에게 각 35만원 상당의 동복을 지급하는 등 어려운 이웃이 꼭 필요한 맞춤형 지원을, 시군 희망복지지원단을 통해 75,308가구에게 각종 민간후원을 연계 지원했다.

 

한편 도는 주소득자의 경제력 상실, 질병‧부상, 재해 등으로 위기에 처한 가구의 따뜻한 겨울 나기를 위해 지난해 12월1일부터 2월 29일 까지 ‘동절기 복지사각지대 집중발굴 및 지원기간’으로 지정하고 道내 민‧관 복지행정력을 집중해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 취약 계층을 발굴하고 지원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번 조사기간 부터는 취약계층의 지원요청과 복지담당 공무원의 일제조사에만 의존했던 기존 방식을 벗어나 복지이(통)장제도, 읍면동 민관협의체, 행복나르미 등 지역사정에 밝은 민간 복지리더와의 연계를 통하여 복지사각지대 발굴경로를 다양화 했다.

 

또한 2015년 12월 도입된 ‘복지사각지대 발굴관리 시스템’을 적극 활용해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단전‧단수‧사회보험료 체납가구등 고위험 예상가구 분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그동안 개인정보의 제약으로 사각지대 발굴이 어려웠던 한계를 보완하여 대상자가 심각한 위기 상황에 빠지기 전 선제적으로 발굴해 지원 할 수 있게 됐다.

 

발굴된 취약계층은 우선 일선 시군의 복지담당자가 현장방문을 통해 초기상담 및 현황파악 후 필요한 지원을 받을수 있게 절차를 밟게되며, 소득수준에 따라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책정, 긴급복지지원, 차상위대상자 책정 등 공적지원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 후, 공적지원 기준에 미달할 경우 각종 민간복지자원을 연계하여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10013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