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우리쌀로 만든 '발효 전통메주, 전통된장' -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우리 쌀 활용한 전통된장 관능평가 실시 - 전통메주, 전통된장 등 쌀 가공식품 개발은 대단히 시급하고 중요
  • 기사등록 2016-01-07 19:15:16
기사수정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이 우리 쌀을 이용한 전통메주와 된장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지난 4일 우리쌀 메주로 만든 된장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했다.

 

관능평가는 20대에서 60대까지 연령대별 10명씩 총 50여명을 대상으로 쌀 함량이 서로 다른(10%, 20%, 30%) 된장찌개의 기호도를 조사·평가하였는데, 쌀 함량이 30%인 된장으로 만든 찌개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번 된장찌개 제조에 활용된 쌀메주는 찐밥과 삶은 콩을 배합하여 적정한 온도에서 우리 전통방식 그대로 건조·발효시킨 것으로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쌀함량 30% 된장이 전통장류 사업장에서 상용화 된다고 가정할 경우, 년간 약 121,500톤 정도의 쌀이 필요하게 되므로 쌀 소비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민 1인당 년간 쌀 소비량은 30년전의 절반 수준인 65㎏정도로 해마다 감소하고 있으며, 쌀 관세화 유예종료에 따른 수입쌀의 영향으로 국내산 쌀 가격은 더욱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어, 우리 쌀을 활용한 전통메주, 전통된장 등 쌀 가공식품 개발은 대단히 시급하고 중요하다.

 

박소득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현재 쌀 소비 부진으로 인해 많은농업인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앞으로 우리 쌀을 이용한 다양한 발효·가공식품 개발에 혼신의 힘을 다할 것이며 개발된 우수한 기술은 농가에 신속히 보급하여 농가소득에 도움이 될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mtv.co.kr/news/view.php?idx=10007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키위픽마켓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